한·미 가치동맹 확대… 유럽과도 안보 네트워크 구축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참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의 오는 29∼30일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참석은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한 한·미 가치동맹을 유럽으로 확대하는 의미가 있다. 중국·러시아가 안보·경제 블록화에 나선 가운데 자유민주주의 체제 강화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려는 새 정부의 외교 노선이 반영된 행보다.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22일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나토 동맹 30개국 및 파트너 국가들과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가치 연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나토는 정치, 군사 이외에 경제, 인권 같은 비군사적 측면을 포함한 포괄적 안보협의체로 진화해 왔다”며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서 우크라이나 사태 등 예측 불가능한 국제 정세 속에서 나토 동맹국들과 함께 포괄적 안보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정상회의 참석은) 사이버, 항공우주, 기후변화, 신흥기술, 해양안보 등 신흥 안보 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모색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윤 대통령은 원전과 반도체, 신재생에너지, 방위산업 등 경제 현안과 2030 부산엑스포 유치, 북핵 문제 공조 등을 고려해 (정상회의 참여국들과의) 양자 회담을 추진하고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벨기에 브뤼셀에 주나토 대표부를 신설함으로써 우리 위상에 걸맞은 대유럽 외교 플랫폼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러한 행보가 중국, 러시아를 자극할 가능성에 대해선 “보편적인 규범과 가치에 동조하는 사람들의 모임처럼 나토 회원국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초청된 4개 나라가 공동대처 방안을 논의하는 것을 반중 정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중국과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후속 협의를 하고 있고, 양국 사이의 불편한 이슈에 대해 선제적이고 긴밀하게 논의하는 협력 기제가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토는 경제안보 차원의 협력 기능도 가동되고 있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나토 회원국에는 첨단기술, 반도체 등 공급망 측면에서 핵심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나라들이 많이 있다”며 “그들 국가와의 교류 협력을 통해 우리가 국익을 도모하겠다는 취지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영국 및 프랑스 정상과 윤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이번에 대화할 기회가 생길 것으로 본다”며 “이들과 북핵 문제를 포함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관해 토론을 이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